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는 CONMEBOL 소속 팀들이 참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10개 협회에서 총 54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가 후니오르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파 수다메리카나 시즌 - 2014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2014년 코파 수다메리카나는 남미 축구 연맹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47개 팀이 참가, 아르헨티나의 CA 리버 플레이트가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을 꺾고 우승했으며 수페르클라시코 더비가 처음으로 펼쳐졌다. - 코파 수다메리카나 시즌 - 2019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2019년 코파 수다메리카나는 남미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44개 팀이 참가하여 2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가 CA 콜론을 꺾고 우승했다. - 2018년 축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의 축구 종목으로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부는 U-23, 여자부는 성인 대표팀이 참가했다. - 2018년 축구 -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로, 가시마 앤틀러스가 우승, 스즈키 유마가 최우수 선수, 바그다드 부네자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코파 수다메리카나 |
기타 명칭 | 코파 CONMEBOL 수다메리카나 2018 |
개최 기간 | 2018년 2월 13일 – 2018년 12월 12일 |
참가 팀 수 | 44 + 10 |
참가 협회 수 | 10 |
경기 수 | 106 |
총 득점 | 226 |
이전 시즌 | 2017년 |
다음 시즌 | 2019년 |
결과 | |
우승 팀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1회 우승) |
준우승 팀 | 주니오르 |
득점왕 | 니콜라스 베네데티(5골) 파블로 필리페 (5골) |
2. 대회 방식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서는 6개 팀이 참가하고, 그 외의 국가에서는 4개 팀이 참가한다.[1]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차 예선에서 탈락한 팀들 가운데 성적이 가장 높은 2개 팀,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조별 예선에서 각 조 3위를 차지한 8개 팀은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2차 예선에 진출한다.[1]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에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가맹 10개국에서 44개 팀이 참가하여 1차전에 진출했다.[3]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서는 6개 팀, 그 외의 국가에서는 4개 팀이 참가한다.[3]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24]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예선 라운드는 1차 예선과 2차 예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 참가 팀
협회 팀 (팀 수) 참가 자격 아르헨티나 (6팀) 산 로렌소 (아르헨티나 1)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4] 라누스 (아르헨티나 2)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4] 뉴웰스 올드 보이스 (아르헨티나 3)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4]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아르헨티나 4)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4] 콜론 (아르헨티나 5)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다섯 번째로 좋은 팀[4] 로사리오 센트랄 (아르헨티나 6)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여섯 번째로 좋은 팀[4] 볼리비아 (4팀) 블루밍 (볼리비아 1)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5] 과비라 (볼리비아 2)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5] 산 호세 (볼리비아 3)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5] 나시오날 포토시 (볼리비아 4)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5] 브라질 (6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브라질 1)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6] 보타포구 (브라질 2)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6]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브라질 3)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6] 바이아 (브라질 4)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6] 상파울루 (브라질 5)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다섯 번째로 좋은 팀[6] 플루미넨세 (브라질 6)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여섯 번째로 좋은 팀[6] 칠레 (4팀) 우니온 에스파뇰라 (칠레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준우승 플레이오프 탈락자[7] 에버턴 (칠레 2) 2017 트란시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7] 아우닥스 이탈리아노 (칠레 3) 2017 트란시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7] 데포르테스 테무코 (칠레 4) 2017 트란시시온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7] 콜롬비아 (4팀)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콜롬비아 1) 2017 프리메라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8] 아메리카 데 칼리 (콜롬비아 2) 2017 프리메라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8] 데포르티보 칼리 (콜롬비아 3) 2017 프리메라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8] 하구아레스 (콜롬비아 4) 2017 프리메라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8] 에콰도르 (4팀) 바르셀로나 (에콰도르 1) 2017 세리에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9] 엘 나시오날 (에콰도르 2) 2017 세리에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9] 데포르티보 쿠엔카 (에콰도르 3) 2017 세리에 A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9] LDU 키토 (에콰도르 4) 2017 세리에 A 코파 수다메리카나 플레이오프 우승자[9] 파라과이 (4팀) 솔 데 아메리카 (파라과이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10] 제네랄 디아스 (파라과이 2)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10] 스포르티보 루케뇨 (파라과이 3)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10] 나시오날 (파라과이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10] 페루 (4팀) UTC (페루 1) 2017 데스센트랄리사도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11] 스포르트 우안카요 (페루 2) 2017 데스센트랄리사도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11] 스포르트 로사리오 (페루 3) 2017 데스센트랄리사도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11] 스포르팅 크리스탈 (페루 4) 2017 데스센트랄리사도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11] 우루과이 (4팀) 세로 (우루과이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12] 보스턴 리버 (우루과이 2)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두 번째로 좋은 팀[12] 람플라 주니어스 (우루과이 3)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세 번째로 좋은 팀[12] 다누비오 (우루과이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네 번째로 좋은 팀[12] 베네수엘라 (4팀) 미네로스 데 구아야나 (베네수엘라 1) 2017 코파 베네수엘라 우승팀[13]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베네수엘라 2) 2017 클라우수라 분류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13]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3) 2017 아페르투라 준우승 팀[13] 사모라 (베네수엘라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총 득점표에서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최고의 팀[13]
201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탈락한 10개 팀은 코파 수다메리카나 2차전으로 진출했다.
4. 일정
라운드 추첨일 1차전 2차전 1차 예선 2017년 12월 20일
(파라과이 루케)2차 예선 2018년 6월 4일
(파라과이 루케)16강전 colspan=2 | 8강전 2018년 10월 23일 ~ 10월 25일 2018년 10월 30일 ~ 11월 1일 준결승전 2018년 11월 7일 ~ 11월 8일 2018년 11월 28일 ~ 11월 29일 결승전 2018년 12월 5일 2018년 12월 12일
5. 예선 라운드
1차 예선에는 CONMEBOL(남미 축구 연맹)에 가맹한 10개국 협회에서 44개 팀이 참가했다. 이들은 1라운드부터 출전하며, 출전 자격은 다음과 같다.협회 팀 (출전 쿼터) 출전 자격 아르헨티나 (6) 산 로렌소 (아르헨티나 1)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고 순위(7위) 라누스 (아르헨티나 2)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2위(8위) 뉴웰스 올드 보이스 (아르헨티나 3)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3위(9위)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아르헨티나 4)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4위(10위) 콜론 (아르헨티나 5)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5위(11위) 로사리오 센트랄 (아르헨티나 6)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6위(12위) 볼리비아 (4) 블루밍 (볼리비아 1)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최고 순위(4위) 구아비라 (볼리비아 2)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2위(6위) 산호세 (볼리비아 3)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3위(7위) 나시오날 포토시 (볼리비아 4) 2016-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4위(8위) 브라질 (6)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브라질 1)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최고 순위(9위) 보타포구 (브라질 2)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2위(10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브라질 3)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3위(11위) 바이아 (브라질 4)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4위(12위) 상파울루 (브라질 5)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5위(13위) 플루미넨세 (브라질 6) 2017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6위(14위) 칠레 (4) 우니온 에스파뇰라 (칠레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플레이오프 패배 팀(2017 Transición 준우승) 에베르톤 (칠레 2) 2017 Transición 최고 순위(4위) 아우닥스 이탈리아노 (칠레 3) 2017 Transición 2위(5위) 데포르테스 테무코 (칠레 4) 2017 Transición 3위(6위) 콜롬비아 (4)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콜롬비아 1) 2017 프리메라 A 통산 성적 최고 순위(4위) 아메리카 데 칼리 (콜롬비아 2) 2017 프리메라 A 통산 성적 2위(5위) 데포르티보 칼리 (콜롬비아 3) 2017 프리메라 A 통산 성적 3위(7위) 하구아레스 (콜롬비아 4) 2017 프리메라 A 통산 성적 4위(8위) 에콰도르 (4) 바르셀로나 (에콰도르 1) 2017 세리에 A 통산 성적 최고 순위(5위) 엘 나시오날 (에콰도르 2) 2017 세리에 A 통산 성적 2위(6위) 데포르티보 쿠엥카 (에콰도르 3) 2017 세리에 A 통산 성적 3위(7위) LDU 키토 (에콰도르 4) 2017 세리에 A&B 플레이오프 승자(세리에 A 8위) 파라과이 (4) 솔 데 아메리카 (파라과이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최고 순위(5위) 헤네랄 디아스 (파라과이 2)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2위(6위) 스포르티보 루케뇨 (파라과이 3)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3위(7위) 나시오날 (파라과이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4위(8위) 페루 (4) UTC (페루 1) 2017 데센트랄리사도 통산 성적 최고 순위(5위) 스포르트 완카요 (페루 2) 2017 데센트랄리사도 통산 성적 2위(6위) 스포르트 로사리오 (페루 3) 2017 데센트랄리사도 통산 성적 3위(7위) 스포르팅 크리스탈 (페루 4) 2017 데센트랄리사도 통산 성적 4위(8위) 우루과이 (4) 세로 (우루과이 1)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고 순위(5위) 보스턴 리버 (우루과이 2)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2위(6위) 람플라 주니오르스 (우루과이 3)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3위(7위) 다누비오 (우루과이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4위(8위) 베네수엘라 (4) 미네로스 (베네수엘라 1) 2017 코파 베네수엘라 우승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베네수엘라 2) 2017 클라우수라 리그전 최고 순위(4위)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3) 2017 아페르투라 준우승 사모라 (베네수엘라 4) 2017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성적 최고 순위(5위)
44개 팀은 남부 팀(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과 북부 팀(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베네수엘라)으로 나뉘어 추첨되었고,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21]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을 통과한 22개 팀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8의 예선 3라운드에서 탈락한 팀 중 상위 2팀, 조별 리그에서 3위로 탈락한 8팀, 총 32개 팀이 참가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8에서 2라운드로 진출한 10개 팀은 다음과 같다.
1차전과 2차전 모두 총 득점이 동점일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동점일 경우 연장전은 실시하지 않고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했다.[18]
5. 1. 1차 예선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1차 예선은 44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참가팀은 남부(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와 북부(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베네수엘라)로 나뉘어 추첨이 이루어졌다.[21]
경기 결과, 총 득점이 동점일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렸다.[18]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에베르톤 (칠레) | 2-2 (a) |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 1-2 | 1-0 |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베네수엘라) | 1-3 | 데포르테스 테무코 (칠레) | 1-1 | 0-2 |
라누스 (아르헨티나) | 5-4 | 스포르팅 크리스탈 (페루) | 4-2 | 1-2 |
데포르티보 칼리 (콜롬비아) | 5-3 | 다누비오 (우루과이) | 3-0 | 2-3 |
산로렌소 (아르헨티나) | 1-0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브라질) | 1-0 | 0-0 |
LDU 키토 (에콰도르) | 4-4 (a) | 과비라 (볼리비아) | 2-1 | 2-3 |
나시오날 (파라과이) | 0-0 (승부차기 4-3) | 미네로스 데 과야나 (베네수엘라) | 0-0 | 0-0 |
스포르트 로사리오 (페루) | 0-2 | 세로 (우루과이) | 0-0 | 0-2 |
솔 데 아메리카 (파라과이) | 3-3 (a)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콜롬비아) | 2-0 | 1-3 |
바르셀로나 (에콰도르) | 1-2 | 헤네랄 디아스 (파라과이) | 0-0 | 1-2 |
스포르티보 루케뇨 (파라과이) | 2-2 (승부차기 5-6) | 데포르티보 쿠엥카 (에콰도르) | 2-0 | 0-2 |
우니베르시다드 테크니카 데 카하마르카 (페루) | 2-4 | 람플라 주니오르스 (우루과이) | 2-0 | 0-4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아르헨티나) | 3-1 | 아메리카 데 칼리 (콜롬비아) | 0-1 | 3-0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브라질) | 4-2 | 뉴얼스 올드 보이스 (아르헨티나) | 3-0 | 1-2 |
우니온 에스파뇰라 (칠레) | 0-3 | 스포르트 우앙카요 (페루) | 0-0 | 0-3 |
하과레스 (콜롬비아) | 2-4 | 보스턴 리버 (우루과이) | 2-1 | 0-3 |
로사리오 센트랄 (아르헨티나) | 0-1 | 상파울루 (브라질) | 0-0 | 0-1 |
엘 나시오날 (에콰도르) | 4-3 | 산호세 (볼리비아) | 3-2 | 1-1 |
블루밍 (볼리비아) | 1-4 | 바이아 (브라질) | 1-0 | 0-4 |
사모라 (베네수엘라) | 0-3 | 콜론 (아르헨티나) | 0-2 | 0-1 |
아우닥스 이탈리아노 (칠레) | 2-3 | 보타포구 (브라질) | 1-2 | 1-1 |
플루미넨시 (브라질) | 3-2 | 나시오날 포토시 (볼리비아) | 3-0 | 0-2 |
5. 2. 2차 예선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을 통과한 22개 팀과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탈락한 10개 팀, 총 32개 팀이 참가했다.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진출한 10개 팀과 1차전에서 성적이 좋은 6개 팀은 2차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22]경기 방식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었다.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렸다.[18]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헤네랄 디아스 (Paraguay|파라과이es) | 1 - 5 | 미요나리오스 (Colombia|콜롬비아es) | 1 - 1 | 0 - 4 |
나시오날 (Paraguay|파라과이es) | 2 - 3 | 보타포구 (Brasil|브라질pt) | 2 - 1 | 0 - 2 |
솔 데 아메리카 (Paraguay|파라과이es) | 0 - 1 | 나시오날 (Uruguay|우루과이es) | 0 - 0 | 0 - 1 |
상파울루 (Brasil|브라질pt) | 1 - 1 (승부차기 3 - 5) | 콜론 (Argentina|아르헨티나es) | 0 - 1 | 1 - 0 |
보스턴 리버 (Uruguay|우루과이es) | 1 - 2 | 반필드 (Argentina|아르헨티나es) | 1 - 0 | 0 - 2 |
플루미넨시 (Brasil|브라질pt) | 3 - 0 | 데펜소르 스포르팅 (Uruguay|우루과이es) | 2 - 0 | 1 - 0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Brasil|브라질pt) | 6 - 1 | 페냐롤 (Uruguay|우루과이es) | 2 - 0 | 4 - 1 |
데포르티보 칼리 (Colombia|콜롬비아es) | 6 - 1 | 볼리바르 (Bolivia|볼리비아es) | 4 - 0 | 2 - 1 |
LDU 키토 (Ecuador|에콰도르es) | 3 - 2 | 바스쿠 다 가마 (Brasil|브라질pt) | 3 - 1 | 0 - 1 |
카라카스 (Venezuela|베네수엘라es) | 6 - 3 | 스포르트 우앙카요 (Perú|페루es) | 2 - 0 | 4 - 3 |
데포르티보 쿠엥카 (Ecuador|에콰도르es) | 4 - 4 (승부차기 6 - 5) | 호르헤 윌스테르만 (Bolivia|볼리비아es) | 2 - 2 | 2 - 2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Argentina|아르헨티나es) | 2 - 1 | 엘 나시오날 (Ecuador|에콰도르es) | 2 - 0 | 0 - 1 |
라누스 (Argentina|아르헨티나es) | 1 - 1 (승부차기 2 - 3) | 후니오르 (Colombia|콜롬비아es) | 1 - 0 | 0 - 1 |
산로렌소 (Argentina|아르헨티나es) | 3 - 1 | 데포르테스 테무코 (Chile|칠레es) | 3 - 0 (몰수)* | 0 - 1 |
바이아 (Brasil|브라질pt) | 3 - 1 | 세로 (Uruguay|우루과이es) | 2 - 0 | 1 - 1 |
람플라 주니오르스 (Uruguay|우루과이es) | 0 - 2 | 산타페 (Colombia|콜롬비아es) | 0 - 0 | 0 - 2 |
6. 결선 라운드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결선 라운드는 1차전 승리 22팀과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넘어온 10팀(예선 3라운드 탈락 상위 2팀, 조별 리그 3위 8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2]
총 득점이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으면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렸다. 단, 결승전은 원정 다득점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30분 연장전 후 승부차기를 진행했다.[18]
16강, 8강, 준결승을 거쳐 결승전이 진행되었다.
6. 1. 대진표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대진표는 다음과 같다. 44개 팀이 남부(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와 북부(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베네수엘라)로 나뉘어 추첨되었으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1] 총 득점이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했다.[18]1차전 승리팀 22팀과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넘어온 10개 팀(예선 3라운드 탈락 상위 2팀, 조별 리그 3위 8팀)을 합쳐 32개 팀이 2차전을 치렀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8 참가 10팀과 1차전 성적 상위 6팀이 2차전을 홈에서 개최했다.[22] 2회전 승리 16개 팀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결승까지 진행했다.
16강 | 1차전 | 2차전 | 합계 | 8강 | 1차전 | 2차전 | 합계 | 준결승 | 1차전 | 2차전 | 합계 | 결승 | 1차전 | 2차전 | 합계 |
---|---|---|---|---|---|---|---|---|---|---|---|---|---|---|---|
산타페 | 0 | 0 | 0 (5) | 산타페 | 1 | 2 | 3 | 산타페 | 0 | 0 | 0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1 | 1 | 2 (4) |
미요나리오스 | 0 | 0 | 0 (3) | 데포르티보 칼리 | 1 | 1 | 2 | 아틀레티코 주니오르 | 2 | 1 | 3 | 아틀레티코 주니오르 | 1 | 1 | 2 (3) |
LDU 키토 | 1 | 0 | 1 (1) | 아틀레티코 주니오르 | 2 | 1 | 3 | ||||||||
데포르티보 칼리 | 0 | 1 | 1 (3)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0 | 3 | 3 | ||||||||
후니오르 | 1 | 1 | 2 | ||||||||||||
콜론 | 0 | 1 | 1 |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0 | 2 | 2 | ||||||||||||
반필드 | 0 | 0 | 0 | ||||||||||||
바이아 | 2 | 1 | 3 (5) | 바이아 | 0 | 1 | 1 (1)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2 | 2 | 4 | ||||
보타포구 | 1 | 2 | 3 (4)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1 | 0 | 1 (4) | 플루미넨세 | 0 | 0 | 0 | ||||
카라카스 | 0 | 1 | 1 | 플루미넨세 | 1 | 1 | 2 |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2 | 2 | 4 | 나시오날 | 1 | 0 | 1 | ||||||||
데포르티보 쿠엥카 | 0 | 0 | 0 | ||||||||||||
플루미넨시 | 2 | 2 | 4 | ||||||||||||
산로렌소 | 3 | 0 | 3 | ||||||||||||
나시오날 | 1 | 2 | 3 |
준결승까지는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렸다. 결승전에서는 원정 다득점 원칙을 적용하지 않고 30분 연장전을 진행했으며,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승부차기를 진행했다.[18]
6. 2. 16강전
(승 5-3)(승 5-4)
(승 1-3)